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2022)*은 단순한 로맨스가 아니다. 사랑과 의심이 교차하는 서스펜스 멜로로, 감정의 미묘한 변화를 세밀하게 포착하며 관객을 끌어당긴다. 김지운 감독의 밀정이 숨 막히는 긴장감을 담았다면, 헤어질 결심은 서늘한 감성과 함께 서서히 스며드는 사랑의 형태를 보여준다. 거기에 정서적으로는 오히려 더 날카롭고 잔인한 지점이 있다.
형사 해준(박해일)과 용의자 서래(탕웨이)의 관계는 처음부터 불안정하다. 해준은 서래의 남편이 산에서 추락사한 사건을 조사하며 그녀를 의심하지만, 그녀에게 끌리기 시작한다. 서래는 온화한 미소와 나지막한 목소리로 해준을 매료시키고, 그가 쉽게 판단을 내리지 못하도록 만든다. 이렇게 ‘의심’이라는 감정은 ‘사랑’과 공존하며, 관객 역시 해준처럼 갈팡질팡할 수밖에 없다.
서래 – 신비로운 인물의 정체
서래는 기존 멜로 영화 속 여주인공과는 결이 다르다. 탕웨이가 연기한 서래는 신비롭고 애매모호한 분위기를 풍긴다. 그녀는 슬픔을 가득 머금고 있으면서도, 자신을 둘러싼 오해나 위기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그녀는 그 모호함을 이용해 해준의 감정을 흔든다. 눈빛 하나, 손짓 하나에 담긴 의미는 단순하지 않다. 그녀가 말하는 한국어는 불완전하면서도 정교하게 다듬어진 듯한 느낌을 준다. 오히려 그런 어색함이 캐릭터를 더욱 신비롭게 만든다.
해준이 그녀를 의심하면서도 빠져들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녀가 단순한 ‘용의자’가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서래는 수동적인 여성 캐릭터가 아니다. 그녀는 해준을 향해 선을 긋고, 때로는 그 선을 넘어서며 두 사람 사이의 감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그녀의 존재 자체가 미스터리이며, 영화가 끝난 후에도 관객은 서래가 누구인지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바로 이 점이 헤어질 결심을 특별하게 만든다.
해준 – 도덕과 감정 사이에서 흔들리는 남자
박해일이 연기한 해준은 전형적인 ‘박찬욱식 남자 주인공’과는 조금 다르다. 그는 냉철한 형사처럼 보이지만, 감정적으로는 불안정한 인물이다. 그는 자기 자신을 통제하고 있다고 믿지만, 서래를 만난 순간부터 그의 질서는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의 집착은 단순한 용의자에 대한 감시가 아니다. 그는 서래를 ‘보는 것’ 자체에 중독되어 가고, 그녀와 얽힌 사건이 끝난 후에도 그녀를 잊지 못한다.
그의 도덕적 갈등은 영화의 핵심이다. 형사로서의 책임과 한 인간으로서의 감정이 충돌하며, 결국 그는 자신의 기준을 허물어버린다. 해준이 서래를 바라보는 시선은 처음에는 의심이지만, 점차 보호하고 싶은 마음으로 변한다. 하지만 그 마음조차도 사랑인지, 혹은 죄책감인지 확신할 수 없다. 이렇듯 헤어질 결심은 단순한 로맨스가 아니라, 도덕과 감정의 경계를 허물어가는 과정이다.
사랑과 범죄의 경계에서
이 영화는 단순한 미스터리나 스릴러가 아니다. 박찬욱 감독은 관객에게 명확한 해답을 주지 않는다. 영화가 끝난 후에도 해준과 서래의 관계는 정의 내리기 어렵다. 사랑이었는가? 혹은 단순한 집착이었는가?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강렬하다. 바닷가에서 이루어진 마지막 장면은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을 남긴다. 해준은 서래를 찾지만, 그녀는 이미 사라진 후다. 그 순간, 해준은 모든 감정을 뒤섞은 채 바다를 바라본다. 서래의 마지막 선택이 무엇이었든, 그것은 그녀만이 내릴 수 있는 결론이었다. 사랑과 의심, 구원과 파멸이 공존하는 이 영화는 그렇게 끝을 맺는다.
헤어질 결심은 관객에게 사랑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사랑이라고 믿는 감정이 얼마나 불완전한 것인지 질문을 던진다. 박찬욱 감독은 이번 작품을 통해 감정의 모호함을 극대화하며, 사랑이라는 감정 자체가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영화가 끝난 후에도, 해준과 서래의 관계를 곱씹으며 깊은 여운을 남기게 되는 작품이다.